소개
알림
자료
포럼
지역
“한국에서 민주주의를 구해낸 주체는 정치 엘리트가 아니라 거리의 시민들이었다.”현대 민주주의와 권위주의를 연구해온 세계적 석학 스티븐 레비츠키 하버드대 교수(정치학)는 “한국은 미국과 달리 민주주의 위기에 훨씬 더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했다”고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에 맞서 시민들이 즉각적으로 저항하고, 국회가 신속하게 탄핵 절차를 밟은 점이 한국 민주주의가 스스로 회복될 수 있었던 중요한 계기였다는 …
오피니언
능력주의는 어떻게 ‘폭정’으로 변…
지난달 한국을 방문한 세계적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는 이재…
2025-10-14
전국
‘플라스틱 재활용률 60%’ 이 …
“투명한 것, 이건 페트라고 해요. PET. 플라스틱은 종류가 몇 가지 …
2025-10-13
사회
100년 공구골목, 청년 창업가들…
2024년 12월21일, 대구 북성로 한복판 무영당 3층. 일제강점기 민…
경제
정책 엔진은 지역에서…‘게임체인저…
“지난 윤석열 정부 시기 사회적경제를 사회주의 경제로 생각해 예산을 전액…
동영상
[단독] ‘전 세계 민주주의 위기와 …
9월 18일, 서울에서 마이클 샌델 교수와단독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마이클 샌델 교수의 책 《당신이 모르…
2025-10-10
뉴스레터
스피커스 #50 AI 복지, 누구를 …
스피커스 전체 내용 쾌적하게 보기 …
2025-10-01
자료집
제25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사회연…
2025년 9월 29일 한겨레신문사 3층 청암홀에서 열린 제25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사회연대경제…
2025-09-29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의 소식을 뉴스레터로 받아보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주관 · 주최하는 포럼과세미나 소식을 "스피커스"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