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알림
자료
포럼
지역
“한국에서 민주주의를 구해낸 주체는 정치 엘리트가 아니라 거리의 시민들이었다.”현대 민주주의와 권위주의를 연구해온 세계적 석학 스티븐 레비츠키 하버드대 교수(정치학)는 “한국은 미국과 달리 민주주의 위기에 훨씬 더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했다”고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에 맞서 시민들이 즉각적으로 저항하고, 국회가 신속하게 탄핵 절차를 밟은 점이 한국 민주주의가 스스로 회복될 수 있었던 중요한 계기였다는 …
전국
‘플라스틱 재활용률 60%’ 이 …
“투명한 것, 이건 페트라고 해요. PET. 플라스틱은 종류가 몇 가지 …
2025-10-13
사회
100년 공구골목, 청년 창업가들…
2024년 12월21일, 대구 북성로 한복판 무영당 3층. 일제강점기 민…
경제
정책 엔진은 지역에서…‘게임체인저…
“지난 윤석열 정부 시기 사회적경제를 사회주의 경제로 생각해 예산을 전액…
오피니언
수상한 휴대폰 교체와 사법체계 불…
류이근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부모는 둘…
동영상
[단독] ‘전 세계 민주주의 위기와 …
9월 18일, 서울에서 마이클 샌델 교수와단독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마이클 샌델 교수의 책 《당신이 모르…
2025-10-10
뉴스레터
스피커스 #50 AI 복지, 누구를 …
스피커스 전체 내용 쾌적하게 보기 …
2025-10-01
자료집
제25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사회연…
2025년 9월 29일 한겨레신문사 3층 청암홀에서 열린 제25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사회연대경제…
2025-09-29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의 소식을 뉴스레터로 받아보세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주관 · 주최하는 포럼과세미나 소식을 "스피커스"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