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커스 #14 Do It Together! 같이 고쳐볼까요? > 자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람과디지털연구소 바로가기

자료

자료

뉴스레터 스피커스 #14 Do It Together! 같이 고쳐볼까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38회 작성일 24-03-27 08:57

스피커스 #14 Do It Together! 같이 고쳐볼까요?

작성일 24-03-27 조회수 1,138회

본문

공유하기

  • 구글플러스로 공유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스피커스 전체 내용 쾌적하게 보기





97426_1697464363.png

요즘 다음 달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로 매일 매시간 각종 이슈가 넘쳐나네요. 서로 다른 듯하지만 결국 비슷한 선심성 공약들, 정치적 공세만이 도드라지는 상황에 이미 피로감을 느끼시는 구독자님들도 있으실지 모르겠어요. 이렇게 총선을 소재로 머리글을 시작하는 것도요.


그런데요, 전 좀 울퉁불퉁한 마음이 들더라고요. 선거 전에는 지구상에서 가장 진보적인 나라처럼 후보자와 정당들이 기후와 여성, 장애인이나 이주민, 돌봄 등 평소 소외당하던 영역에 얼마나 열심인지요(말이 되는지는 차치하고요). 그런데 지역 균형에 대해서는 어떤가요? 여전히 개발과 건설만 언급되는 느낌이에요.


물론 개발도 건설도 중요하죠. 기반을 정비하고 새롭게 구축하면 많은 사람이 더욱 편안해지겠죠. 하지만 전국 모든 곳을 다 건설하고 개발할 수는 없잖아요. 지금 우리나라에는 빈집만 전국 140만호가 넘거든요. 사람이 관리하지 않는 빈집은 황폐해지고 이웃과 마을에도 영향을 미치죠. 대규모 공사와 건설도 필요하지만, 내 주변에 있는 빈집과 마을을 다시 살리는 방법에도 후보자들과 정당들이 관심을 좀 가져줬으면 해요.  

 
97426_1698651802.png



97426_2515872_1732003489326654055.png

그래서 말입니다. 여러분 혹시 DIT(Do It Together)란 말 들어보셨나요? DIY(Do It Yourself)는 들어봤는데 DIT는 처음이라고요? DIT는 두잇투게더! 여럿이 함께하자는 의미잖아요. DIY를 ‘여럿이 함께’ 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참여형 시공인 DIT는 장소에 관심 있던 사람들이나 장소와 관련된 커뮤니티, 시공 기술을 배우고 싶은 사람 등이 모여 진행해요. 참여자들에게 참여비를 받을 때도 있고, 지자체 등 지원이 결합하면 참여비를 받지 않을 수도 있다네요. 짧게는 하루, 보통은 2~4일 정도 진행하고요. 맞춤 수납장 제작이나 단열, 수리 등 필요한 작업을 정해 참여자들과 해당 부분을 시공해요.


DIT는 윤주선 충남대학교 교수(건축학)가 제안하는 개념이에요. 개인이 완수하기 어려운 대규모 업무나 노동 강도가 높은 작업을 소수 전문가 지도하에 건물주, 건축가, 운영자, 시공인, 지역민 등 다수 참여자가 커뮤니티를 이뤄 작업을 완성하는 방식을 의미해요. 소비자에서 생산자로의 변화에 가치를 부여하는 문화운동인 메이커 운동(기술 민주주의), 예술을 삶 속에 스며들게 하는 생활문화 운동(문화 민주주의)과 결을 같이 하고 있어요. 전문가만의 영역이었던 것을 문화이자 놀이로 가져와 함께 즐기며 공유하고 필요하면 노동을 분담하는 것이 목표죠.



97426_1697461784.png?p4q7scjy

전문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거대 담론 속 일상의 인사이트를 찾아 재구성하는 스피커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주관하는 포럼과 세미나는 물론 다양한 주제와 담론들을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목록으로 이동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서울시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신문사 3층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