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커스 #16 저출생, 문제는 젠더 역할 규범이야! > 자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람과디지털연구소 바로가기

자료

자료

뉴스레터 스피커스 #16 저출생, 문제는 젠더 역할 규범이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95회 작성일 24-05-08 09:04

스피커스 #16 저출생, 문제는 젠더 역할 규범이야!

작성일 24-05-08 조회수 1,395회

본문

공유하기

  • 구글플러스로 공유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스피커스 전체 내용 쾌적하게 보기


 

97426_1697464363.png



97426_1698651802.png
97426_1714629906.jpg
2023년 교육방송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인구대기획 초저출생’의 한 장면. 교육방송 갈무리
97426_1697461784.png?p4q7scjy
97426_1709014712.png
97426_1697462055.png?egw0n2dx?e2vjag2c

유명한 '짤'이죠? 세계적 석학인 조앤 윌리엄스 미국 캘리포니아대 법대 명예교수가 머리를 부여잡고 있는 사진이요. 게다가 밑에 깔린 자막,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와!(Korea is so screwed. Wow!)”. 권위 있는 제삼자가 한국이 처한 놀라운 현실을 보여주는 모습이라 화제가 되었죠. 이 장면은 지난해 방영된 교육방송(EBS) 다큐멘터리 ‘인구대기획 초저출생’에서 윌리엄스 교수와의 인터뷰 중 한 장면으로,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이 0.78명이라는 말을 듣고 “그 정도로 낮은 출산율을 들어본 적이 없다”며 크게 놀란 모습을 포착한 것입니다.


2023년(방영 시점 기준) 상반기였으니 그나마 다행이에요. 만약 지금 인터뷰했다면 윌리엄스 교수는 너무 놀라 의자 뒤로 넘어가셨을 거예요????. 2022년, 0.78이었던 합계출산율은 2023년 3분기에는 0.7명을 기록했고, 정부는 올해 0.68명을 예상해요. 지난해 4분기 서울의 합계출산율은 0.55명에 불과했습니다. 대한민국의 연간 합계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예요. ‘압도적 최하위’에 십 년 넘게 머물러 있죠.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은 짤로 유명해졌지만, 윌리엄스 교수의 문제 진단과 해법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합니다. 그는 지금의 저출생 문제가 돌봄 의무가 없는 사람을 이상적 노동자로, 여성(엄마)을 돌봄 책임자로 규정한 사회적 구조에서 기인한다고 분석했어요. 윌리엄스 교수는 출생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모 사이에 동등하게 분배되는’ 육아휴직을 일·가정 양립의 중요한 해법으로 제시했습니다. 부모 모두가 육아에 참여하는 것이 저출생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강조했죠.


지난 4월 26일 숭실대에서 ‘한국의 초저출산, 원인과 대응’을 주제로 열린 2024 한국사회보장학회 춘계학술대회 기획 세션에서는 저출생, 일과 가정, 그리고 젠더 역할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어요. 이번 스피커스는 ‘저출산의 원인과 대응: 젠더간 역할의 형평성과 출산’을 주제로 진행된 기획 세션을 정리해봤습니다! 


97426_1697461784.png?p4q7scjy

전문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거대 담론 속 일상의 인사이트를 찾아 재구성하는 스피커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주관하는 포럼과 세미나는 물론 다양한 주제와 담론들을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목록으로 이동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서울시 마포구 효창목길6 한겨레신문사 3층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