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미래 점치는 석학들…사기꾼 되거나, 빈자를 돕거나 > 뉴스룸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바로가기

뉴스룸

뉴스룸

AI 미래 점치는 석학들…사기꾼 되거나, 빈자를 돕거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243회 작성일 24-06-13 13:20

AI 미래 점치는 석학들…사기꾼 되거나, 빈자를 돕거나

작성일 24-06-13 조회수 1,243

본문

공유하기

  • 구글플러스로 공유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인공지능 기술을 도덕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방패막이 삼아선 안된다.” (테드 창)

12일 한겨레 주최로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회 사람과 디지털 포럼’에 모인 전세계 석학들이 다함께 원탁토론에 나서 ‘사람 넘보는 인공지능(AI)’이 인간 가치를 담아내도록 하기 위해 풀어야 할 여러 과제를 제시했다.

좌장을 맡은 전치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인공지능은 망치와 같은 일상적인 도구의 한 종류일 뿐인가? 아니면 단순한 도구 그 이상인가?”라는 질문으로 토론의 문을 열었다.

게리 마커스 미국 뉴욕대 교수는 “많은 사람이 인공지능을 ‘마술’이라고 여기지만, 인공지능은 그저 대규모 데이터 세트와 알고리즘이 결합한 소프트웨어, 즉 도구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사람들이 지나치게 순진해 인공지능의 사용법을 잘 모르다 보니 여러 문제가 생긴다”고 덧붙였다.

최예진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인공지능은 자동차 등 우리가 지금까지 만든 다른 도구들과 달리 단순한 도구일 뿐이라 말할 수 없다”고 반론했다. 그는 “인공지능이라는 도구가 생성해 내는 결과물은 우리가 결코 완전히 통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며 “인공지능이 실생활에 도입돼 많은 이의 삶에 영향력을 끼치기 전에, 평가 기준 구축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 사회의 어두운 면을 확대 재생산하는 도구로 쓰여서는 안 된다”고 우려했다. 아베바 비르하네 아일랜드 트리니티칼리지 교수는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월드와이드웹(www)에 누구나 동일하게 접근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편향과 대표성의 문제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채용, 사기 탐지, 복지 급여 수혜자 선정 등 복잡한 역사적·사회적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분야에는 인공지능을 절대 사용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테드 창 작가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검토하는 데에는 인공지능이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도 “지금 생성형 인공지능이 어디에 쓰이고 있는지 보면 사기(fraud) 말고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전제 아래, 인공지능 기술을 오래된 사회 문제를 푸는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최예진 교수는 “인도의 경우 변호사 선임 비용이 비싸서 부당한 일을 겪고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는 이들이 있다고 한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법률 서비스 비용을 낮춘다면, 비록 완벽하지 않더라도 아무런 자원이 없는 이들에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테드 창 작가는 “마이클 세이커라는 작가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두고 ‘우리는 도덕적 책임을 피하는 걸 중심으로 기술을 발전시킨다’고 비판한 적이 있다”며 “인공지능을 비롯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할 때 ‘도덕적 책임을 피하고자 이 기술을 도입하려는 건 아닌지’ 늘 자문해 봐야 한다”고 했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

목록으로 이동

회원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