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드 창 “AI, 단시간 많이 연습했을 뿐…응용통계에 가까워” > 뉴스룸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바로가기

뉴스룸

뉴스룸

테드 창 “AI, 단시간 많이 연습했을 뿐…응용통계에 가까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10회 작성일 24-06-13 13:19

테드 창 “AI, 단시간 많이 연습했을 뿐…응용통계에 가까워”

작성일 24-06-13 조회수 1,310

본문

공유하기

  • 구글플러스로 공유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챗지피티(ChatGPT)에 ‘반갑습니다’라고 말하도록 만드는 건 쉽지만, 챗지피티는 여러분을 봐도 반가움을 느끼지 않습니다.”(테드 창)

이 시대 최고의 과학소설(SF) 작가라 불리는 테드 창이 1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3회 사람과디지털포럼’에 참석해 ‘인공지능, 인공물, 예술’을 소재로 강연했다. 한겨레가 주최하고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 사람과디지털연구소가 주관한 이번 포럼은 ‘사람 넘보는 인공지능(AI), 인간 가치도 담아낼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이뤄졌다.

소설 ‘당신 인생의 이야기’(영화 ‘컨택트’ 원작)와 ‘숨’ 등의 작품을 펴내 휴고상, 로커스상 등을 수상한 그는 지난해 미 시사주간 타임지가 선정한 ‘인공지능 100대 인물’에 선정됐으며, 그가 쓴 ‘인류 과학의 진화’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되기도 했다.

이날 테드 창은 인공지능은 ‘의도’와 ‘지능’이 없다고 말했다. 강아지와 아기는 말할 수 없거나 서툴러도, 반가운 마음을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지만 챗지피티는 아무것도 느낄 수 없고 아무것도 원하지 않는다. 챗지피티는 감정을 전달하려는 의도가 없기에 언어를 사용한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 테드 창의 견해다.

테드 창은 ‘지능’을 ‘기술을 습득하는 능력’이라 봤다. 알파제로(구글의 체스 인공지능)는 네 시간 동안 천만번을 연습해야 어느 수준에 다다를 수 있지만, 인간 체스 선수는 알파제로보다 약 천배 적은 몇천 번 만에 같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능이 없는 인공지능은 단시간 안에 비인간적으로 많은 연습을 할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테드 창은 “(우리가 말하는 인공지능은) 인공기술의 시연에 가깝다”며 ‘인공지능’ 대신 ‘응용통계’라는 용어를 제안했다.

테드 창은 인공지능이 기존의 저작물을 모방하면서 나타나는 인공물의 ‘그럴듯함’을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테드 창은 “챗지피티는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구사하므로 표면적으로는 예리한 정보를 주는 것 같지만, (웹 정보의 ‘흐릿한 복제’ 과정에서) 실수가 있을 수 있다. 그것이 여러분을 속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 2월 ‘뉴요커’에 기고한 글에서 “챗지피티는 웹의 흐릿한 복제본에 불과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테드 창은 인공지능이 ‘예술’에서도 인간을 대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테드 창이 바라보는 예술은 ‘선택의 연속’이다. 테드 창은 “소설을 쓸 때 인공지능에 단어 선택을 맡긴다면, 인공지능은 다른 작가들이 선택한 단어를 평균 내 산출하거나 특정 작가의 형식을 모방할 것”이라며 “특징이 없거나 파생적인 이야기가 될 수밖에 없다. 어떤 경우에도 흥미로운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영화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최근 소라(오픈에이아이의 텍스트 기반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가 등장하자, 미래에는 이를 이용해 사람 한 명이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 바 있다. 하지만 테드 창은 기존 영화를 뛰어넘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테드 창은 “영화를 제작할 때 카메라맨은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고 디자이너는 의상을, 편집작가는 속도를, 작곡가는 음악을 선택한다”며 “예술은 선택의 결과물이며 이것이 흡입력을 만든다”고 했다.

제3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사람 넘보는 AI, 인간 가치도 담아낼 수 있을까?)이 12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테드 창 SF 작가(오른쪽)와 김범준 성균관대학교 교수가 `인공지능, 인공물, 예술'을 주제로 대담하고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제3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사람 넘보는 AI, 인간 가치도 담아낼 수 있을까?)이 12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테드 창 SF 작가(오른쪽)와 김범준 성균관대학교 교수가 `인공지능, 인공물, 예술'을 주제로 대담하고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강연 뒤에는 김범준 성균관대학교 교수(물리학)와의 대담이 진행됐다. 대담에서 테드 창은 감정을 느끼는 인공지능에 관해 “개발이 가능하다면 기술적인 성과겠지만 얼마나 효용이 있는지 모르겠다. 이미 인간이 있는데 그런 기계를 개발할 필요가 있느냐”고 되물었다. “누군가를 만났을 때 ‘반갑다’고 말하는 것은 새로운 표현이 아니지만 의미 있다. 감정을 실제로 느끼는 것과,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 드러내는 건 다르다”라며 온도에 따라 표정이 바뀌는 기계를 예시로 들었다. 특정 온도에 웃는 얼굴이 나타나는 기계가 있다고 해서 실제로 감정을 느끼는 것은 아니며, 기계가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 사람에게 착각을 일으킬 뿐이라는 것이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

목록으로 이동

회원로그인

회원가입